실내환경 관리 중요성

실내공기 오염은 그 원인과 영향이 다양하지만 우리가 미리 대처한다면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질 관리가 중요합니다.
우리는 하루에 거의 80~9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한 실내공기 오염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우리의 건강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일반인뿐만 아니라 노약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이상일 수도 있습니다.

수많은 고층건물과 지하공간에서 주기적인 청소나 적절한 환기도 없이 이중창 등으로 밀폐된 실내에서 생활하면서, 우리는 간혹 가슴이 답답하고 피로를 느끼면서도 대수롭지 않게 지나칠 때가 많습니다.
최근 '새집증후군(SHS : Sick House Syndrome)', 건물증후군(SBS : Sick Building Syndrome)', 복합화학물질 과민증(MCS :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 등은 우리도 모르게 불편을 겪고 있는 피로, 두통, 현기증, 집중력 감퇴 등과 같은 증상을 일컫는 말이기도 합니다.

실내공기 오염은 그 원인과 영향이 다양하지만 우리가 미리 대처한다면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질 관리가 중요합니다.

미국환경청(EPA)은 실내공기 오염의 심각성과 인체위해성에 대한 사람들의 무관심을 경고하였으며 가장 시급히 처리해야 할 환경문제 중 하나라고 발표하였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대기오염에 의한 사망자 수는 연간 최대 600만명이며 실내공기 오염에 의한 사망자는 280만명에 이르고, 실내 오염물질이 실외 오염물질보다 폐에 전달될 확률은 약 천배 높다고 추정하였습니다. 또한 WHO는 실내공기를 단순한 '매체관리' 차원에서 벗어나 UN헌장에서 명시하고 있는 '인간의 기본권' 차원에서 다룰 것을 요구하며, '건강한 실내공기에 대한 권리(The Right to Healthy Indoor Air)'라는 선언문을 채택(2000.5)하였습니다.

실내공기 오염은 그 원인과 영향이 다양하지만 우리가 미리 대처한다면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질 관리가 중요합니다. 이미지

The Right to Healthy
Indoor Air

건강한 실내공기에 대한 권리

건강한 실내공기에 대한 권리 아이콘
  • 사람은 누구나 건강한 실내공기를 호흡할 권리가 있다.
  • 사람은 누구나 잠재적인 노출의 위험성에 대한 정보와 노출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가 있다.
  • 재실자에게 불필요한 건강 위해를 야기시킬 수 있는 농도로 오염물질이 실내에 유입되어서는 아니된다.
  • 건축물과 관계되는 모든 개인과 집단 및 단체들은 실내공기질이 재실자에게 허용될 수 있는 수준으로 유지할 책임이 있다.
  • 개인이 건강한 실내공기질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가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영향을 받아서는 아니된다.
  • 모든 관련기관들은 건축물의 실내공기질과 그에 따른 건강 및 환경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분명한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 실내 유해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는 불확실성을 이유로 잠재적인 위해성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의 실행이 지연되어서는 아니 된다.
  • 실내 공기로 인하여 발생되는 건강 혹은 복지에 대한 책임은 오염원인자에 있으며, 오염원인자는 실내공기질의 개선 또는 복원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 건강문제와 환경문제를 별개로 취급할 수 없으며, 실내공기질 개선 활동이 생태계의 통합성과 미래세대의 권리를 손상시켜서는 아니 된다.

[내용 출처 : 서울시 실내환경관리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