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바이러스 포함)

미생물(세균, 진균, 바이러스) 오염에 대한 행동 및 대응 요령

바이러스, 세균, 진균(효모, 곰팡이, 버섯) 등 바이오에어로졸의 주요 발생원은 공기순환장치 응축액, 냉각탑, 젖은 수건, 습도 높은 실내, 축축한 유기물, 젖은 다공성 표면, 가습기, 온수 시스템, 식물, 동물·곤충 또는 그 배설물, 식품·음식물 등이며 세균과 진균의 농도는 CFU(집락형성수, colony forming unit)/㎥로 표현되고 바이러스는 PFU(용균반형성단위, plaque-forming unit)/㎥ 로된다.

미생물(세균, 진균) 오염 대응 요령

1. 발생원 제어

미생물(바이러스) 오염의 주요 발생원은 실내의 온습도가 높고, 누수나 결로가 발생하는 곳입니다.
따라서 미생물(세균, 진균)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내 온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누수나 결로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내 온습도 제어
    실내 온도는 20~25℃, 습도는 40~60%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누수, 결로 방지
    건물의 누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합니다.

2. 제거

발생원 제어를 통해서도 미생물(세균, 진균) 오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거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공기청정기 가동
    헤파필터 공기청정기를 통해 공기 중의 미생물(세균, 진균, 바이러스)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살균제, 소독제 사용
    건축물을 밀폐한 상태에서 높은 온도를 유지하여 라돈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 전문업체 의뢰
    전문업체에 의뢰하여 오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3. 희석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실내 공기를 희석하여 농도 저감을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 자연환기
    창문을 열어 환기합니다.
  • 기계환기
    환기 시스템을 통해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합니다.
※ 추가적인 팁

손을 자주 씻습니다. 손을 자주 씻으면 손에 묻은 미생물(세균, 진균, 바이러스)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마스크를 착용하면 호흡기로부터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감염 시 대응 요령

바이러스 감염 시에는 다음과 같은 대응 요령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충분한 휴식을 취합니다.
  • 증상에 따라 해열제, 진통제 등을 복용합니다.
  • 물을 많이 마십니다.
  • 증상이 심한 경우 병원에 방문합니다.

바이러스 감염 시에는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또한, 증상에 따라 해열제, 진통제 등을 복용하여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병원에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원핵세포(세균) PROKARYOTIC CELL 이미지

원핵세포(세균)
PROKARYOTIC CELL

진핵세포(진균) EUKARYOTIC CELL 이미지

진핵세포(진균)
EUKARYOTIC C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