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iculate Matter
미세먼지 (PM)
미세먼지란? :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아주 가늘고 작은 직경10㎛ 이하의 먼지 입자를 말하며, 숨을 쉴 때 호흡기관을 통해 폐로 들어와 폐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면역력을 약하게 만듭니다.
미세먼지의 종류는 공기역학적으로 직경이 10㎛ 이하의 미세먼지는 주로 먼지, 꽃가루, 곰팡이 포자 등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2.5㎛ 이하의 미세먼지는 미세먼지(PM2.5)를 뜻하며,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 배출가스 등 인위적인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미세먼지의 직경이 작을수록 폐 깊숙이 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선진국의 경우 PM10 보다 직경이 더 작은 미세먼지를 중요시 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알레르기 반응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와 노인, 그리고 기존에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더 큰 위험이 됩니다.
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 (CO₂)
이산화탄소란? : 이산화탄소는 화학식 CO₂로 나타내며, 하나의 탄소 원자와 두 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입니다. 이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 자연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됩니다. 주로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 연료가 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며, 생물의 호흡 과정에서도 생성됩니다. 건조한 공기 중에 약 0.03%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산화탄소의 성질은 기체 상태에서 대기 중에 존재하며, 온실가스로서 지구의 기온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인간 활동에 의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독성은 없지만 그 양이 증가하면 혈액 속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가 페에서 사라지지 않게 되며, 18% 이상인 곳에서는 생명이 위험해 집니다.
700~1000ppm : 이 농도에서는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이 범위를 초과하면, 사람들은 불편함을 느끼고,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1000~2000ppm : 이 범위에 노출되면 피로감과 졸림 현상이 나타나며, 집중력과 학습 능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산소 농도가 낮아져 뇌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게 됩니다。
2000ppm 이상: 이 농도에서는 두통, 어지러움, 혈압 상승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000ppm 이상의 농도에서는 더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노출의 위험 :장기적으로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에 노출될 경우, 만성 피로, 집중력 저하, 두통 등의 증상이 지속될 수 있으며, 이는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Formaldehyde
포름알데히드 (HCHO)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란? : 화학식 CH2O를 가진 가장 간단한 알데하이드로, 무색의 기체 상태에서 자극적인 냄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화합물은 상온에서 기체로 존재하며, 물에 잘 녹아 포르말린이라는 용액 형태로도 사용됩니다. 포름알데히드는 주로 메탄올의 산화 반응을 통해 제조됩니다.
포름알데히드의 건강 영향 : 포름알데히드는 1군 발암물질로 분류되며, 비인두암, 림프계 및 조혈기계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노출 시 눈, 코, 목에 자극을 주며, 심한 경우 폐의 염증,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노출 경로 : 포름알데히드는 주로 실내 공기에서 발견되며, 가정에서의 노출은 주로 가구, 건축 자재, 화장품 등에서 발생합니다. 특히 새집증후군의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높은 농도에 노출될 경우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Airborne Bacteria
부유세균
부유세균이란? : 공기 중에 떠다니는 세균을 의미하며, 일반 세균과 병원성 세균을 포함합니다. 이들은 먼지나 수증기 등에 부착되어 생존하며, 실내 환경에서 1년 내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부유세균은 생물학적 오염물질로 분류되며,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부유세균의 건강 영향 : 부유세균은 실내 공기질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이들은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 반응, 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와 노인에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부유세균의 농도가 높을 경우, 호흡기 질환의 발생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부유세균은 실내 공기 오염을 유발하고, 이는 재실자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마철에는 부유세균의 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 환기가 더욱 중요해집니다.
Carbon Monoxide
일산화탄소 (CO)
일산화탄소(一酸化炭素, CO)란? : 탄소와 산소로 구성된 화합물로, 무색, 무취, 무미의 가스입니다. 이 가스는 주로 화석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발생하며, 석탄, 석유, 가스, 나무 등 다양한 연료에서 생성됩니다.
일산화탄소 특성 : 일산화탄소는 대기 중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되는 성간 분자 중 하나로, 수소 분자 다음으로 많이 존재합니다.
일산화탄소의 건강 영향 :인체에 매우 유독하며, 혈액 내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 운반을 방해합니다. 이로 인해 저산소증 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산화탄소 중독은 매우 위험한 상태로, 초기 증상으로는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등이 있으며, 심각한 경우 의식 상실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특히, 이 가스는 냄새가 없기 때문에 중독을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Radon
라돈 (Rn)
라돈(Radon)이란? : 원자번호 86번의 방사성 기체로, 자연에서 발생하는 무미, 무취의 기체입니다. 주로 우라늄, 토륨, 라듐과 같은 방사성 물질이 분해될 때 생성됩니다. 라돈은 공기보다 약 8배 무겁고,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과 토양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라돈의 유입 경로 : 라돈은 주로 지반에서 발생하여 건물 내부로 유입됩니다. 콘크리트 바닥과 벽의 이음매, 오수 맨홀, 배출구 등의 개구부를 통해 실내로 들어오며, 이로 인해 실내 라돈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라돈의 건강 영향 : 라돈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지정한 1급 발암물질로, 폐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특히 비흡연자에게는 폐암의 두 번째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자에게는 첫 번째 원인인 흡연 다음으로 위험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라돈은 알파선을 방출하며, 이는 피부를 통과하지 못하지만 체내에 흡입될 경우 세포를 파괴하고 유전자를 변형시켜 폐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우라늄 광산에서 일하는 광부들은 고농도의 라돈을 흡입하여 폐암에 걸릴 위험이 높습니다. 라돈 농도가 4 pCi/L를 초과할 경우, 미국에서는 라돈 저감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Volatile Organic Compound
휘발성유기화합물 (VOC)
휘발성유기화합물 이란? :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은 상온에서 쉽게 기화되는 유기 화합물로, 일반적으로 비점이 낮은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물질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화합물은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하여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VOC 종류 :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물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벤젠, 롤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포름알데히드
이들 화합물은 주로 산업용 용매, 페인트, 접착제, 청소용품 등에서 발견됩니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건강 영향 : VOC는 인체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저농도에서도 특유의 악취를 내뿜고, 피부 접촉이나 호흡기를 통해 신체에 유입되어 신경계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부 VOC는 발암성 물질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Mold
곰팡이
곰팡이는 균사로 이루어진 생물의 한 분류로, 일반적으로 균계(fungi)에 속하는 미생물입니다. 이들은 두꺼운 세포벽을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종속영양생물입니다. 곰팡이는 자연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되며, 주로 유기물에서 자생합니다.
곰팡이의 생태적 역할 : 곰팡이는 자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재활용하고,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그러나 곰팡이가 과도하게 자생할 경우,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곰팡이의 건강 영향 : 곰팡이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곰팡이 포자는 공기 중에 떠다니며, 이를 흡입할 경우 알레르기, 천식, 감염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내용 출처 : 서울시 실내환경관리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