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iculate Matter
미세먼지 (PM)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아주 가늘고 작은 직경10㎛ 이하의 먼지 입자를 말하며, 숨을 쉴 때 호흡기관을 통해 폐로 들어와 폐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면역력을 약하게 만듭니다.
공기역학적으로 직경이 10㎛ 이하의 미세먼지는 미세먼지(PM10), 2.5㎛ 이하의 미세먼지는 미세먼지(PM2.5)를 뜻하며, 미세먼지의 직경이 작을수록 폐 깊숙이 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선진국의 경우 PM10 보다 직경이 더 작은 미세먼지를 중요시 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 (CO₂)
탄소나 그 화합물이 완전 연소하거나 생물이 호흡 또는 발효할 때 발생하며, 건조한 공기 중에 약 0.03% 함유되어 있습니다. 독성은 없지만 그 양이 증가하면 혈액 속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가 폐에서 사라지지 않게 되며, 18% 이상인 곳에서는 생명이 위험해집니다.
Formaldehyde
포름알데히드 (HCHO)
강한 자극성 냄새를 가진 무색 투명한 기체로 수용성이 강하며, 살충, 살균제, 합성수지 원료 등으로 사용됩니다.
포름알데히드 37% 용액에 10~15%의 메탄올을 첨가한 것이 포르말린입니다.
급성독성, 피부자극성, 발암성 등의 인체 유해성을 가지고 있어 국제암연구센터에서는 '발암우려 물질'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Airborne Bacteria
부유세균
먼지나 수증기 등에 미생물들이 부착되어있는 것이 부유세균이며, 주로 호흡기관에 영향을 주고 병원성 감염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Carbon Monoxide
일산화탄소 (CO)
연소 시 산소가 부족하거나 연소온도가 낮으면 완전연소가 일어나지 못하여 생성됩니다.
혈액중의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과의 친화력이 산소의 250배 정도 되어 산소결핍에 따른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Radon
라돈 (Rn)
토양이나 암석 등 자연계의 물질중에 함유된 우라늄이 연속 붕괴하면서 생성되는 라듐이 붕괴할 때 생성되는 원소로서 무색, 무미, 무취의 방사성 가스입니다.
Volatile Organic Compound
휘발성유기화합물 (VOC)
비점(끓는점)이 낮아서 대기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의 총칭입니다.
액체연료, 파라핀, 올레핀, 방향족화합물 등 생활 주변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유기물질들이 거의 취발성유기화합물이며, 실내에서는 건축재료, 세탁용제, 페인트, 살충제 등이 주요 발생원입니다. 주로 호흡 및 피부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며 급성중독일 경우 호흡곤란, 무기력, 두통, 구토 등을 초래하며 만성중독일 경우 혈액장애, 빈혈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휘발성유기화합물로 톨루엔(Toluene)을 비롯하여 벤젠(Benzene), 에틸벤젠(Ethylbenzene), 자일렌(Xylene), 스티렌(Styrene) 등이 있습니다.
Mold
곰팡이
곰팡이란 미생물의 한 종류이며, 우리 주변 환경의 어디에나 존재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곰팡이는 해롭지 않지만, 일부 곰팡이들은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장기간 흡입하거나 노출될 경우 알레르기 질환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어 곰팡이 발생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환경관리가 필요합니다.
[내용 출처 : 서울시 실내환경관리시스템]